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전기요금을 절약할 경우 금전적인 혜택도 있지만, 적은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탄소배출양 감소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기후환경 변화 완화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오늘은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과 캐시백 산정방법 및 지급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 테니 꼭 신청하셔서 전기요금도 줄이고 에너지캐시백 혜택도 받으시기 바랍니다. 

     

    전기요금도 줄이고 에너지캐시백도 받자

     

     

    '주택용 에너지캐시백' 은  '22년부터 에너지 소비절약 의식 제고 및 전기요금 부담 완화를 위해 시작된 프로그램으로, 주택용 전기사용자가 과거보다 일정 수준 이상 전기사용량을 줄이면 캐시백을 드리는 주거부문 에너지절감 프로그램입니다. 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▣ 신청대상  

     

    주택용(가정용) 전기를 사용하는 고객 

     

     <참여제외 고객> 

    • 전기요금을 관리비에 포함하여 납부하는 아파트 중 사용 전력량 정보가 미제출된 고객
    •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직전 1개월 동월분 사용 전력량 정보가 없는 고객 
    • 한전이 시행하는 타 에너지 절양 프로그램 참여 고객 

     

    &#39;24년 에너지캐시백(전기요금도 줄이고 캐시백도 받자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▣ 신청방법 

     

    신청 주소지에 주민등록된 구성원이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 

     

    <온라인 신청> 

    • 포털사이트 네이버 등에 '한전에너지캐시백' 검색 
    • 한전 고객센터(123) 문의하여 신청경로 문자 수신
    • 한전ON 에 접속 

     

    ※ 에너지캐시백 신청절차 안내 동영상 

    PC 신청방법
    모바일신청방법

     

     

    <방문 신청>

    • 본인확인을 위해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을 지참, 전국 한전 사업소 방문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▣ 적용시기 

     

    신청일을 포함하는 ※월분부터 캐시백 산정 

    ※ 달력기준의 1일~ 말일이 아닌 신청자의 전기요금 산정 기간을 의미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에너지캐시백에너지캐시백에너지캐시백
    에너지캐시백
    에너지캐시백에너지캐시백
    에너지캐시백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 캐시백 산정방법 

     

    절감량(kWh) = 직전 2개년 동일기간 평균사용량 - 절감활동기간의 사용량 

    절감률(%) = 해당기간 절감량 ÷ 직전 2개월 동일기간 평균사용량 × 100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▣  캐시백 지급기준

     

    직전 2개년 동월 평균 대비 3% 이상 절감할 경우 절감률 30%를 한도로 절감률 구간별로 1 kWh 당 30~100원 지급('24년 1월분부터 적용) 

     

    절감률 구간 3%이상~ 5% 미만 5%이상~ 10% 미만 10%이상~20%미만 20% 이상~30% 이하 
    단가 30원/ kWh 60원/ kWh 80원/ kWh 100원/ kWh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▣  캐시백 지급방법 

     

   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 달 전기요금 청구 시 반영 

     

    • 캐시백 산정기간 중 신청자의 주소지가 변경된 경우 캐시백 지급이 제외, 
    • 캐시백 재신청을 위해서는 변경된 주소지 기준으로 다시 신청.

     

    반응형